디지틀조선TV 유튜브 바로가기

'중국 시장 부진에' 발목잡힌 아모레·LG생건…하반기 이겨낼까

김태동 기자 ㅣ tad@chosun.com
등록 2023.05.09 10:01

아모레·LG생건 1분기 영업익, 전년비↓
중국 소비 회복 지연과 원가·고정비 증가 부담 작용
업계 "중국 소비 심리 회복되는 하반기부터 실적 개선 기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아모레퍼시픽 본사 / 뉴스1

국내 대표 화장품 기업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 올해 1분기 우울한 성적표를 받았다. 아모레퍼시픽은 1년 전과 비교해 절반 수준에 그친 영업이익을 냈고, LG생활건강은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보다 20% 가까이 줄었다. 중국 소비 회복 지연으로 실적 부진이 심화됐고, 원가·고정비가 증가하면서 부담으로 작용했다.

9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9.3% 감소한 644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조91억원으로 20.1%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1155억원으로 12.6% 감소했다.

사업별로 살펴보면 국내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4.6% 하락해 5522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60.8% 내린 439억원에 그쳤다.

해외 사업 매출은 16.8% 빠진 3494억원, 영업이익은 266억원으로 36.9% 감소했다. 북미지역 매출이 성장세를 보였지만 중국 등 아시아 시장의 부진이 뼈아팠다.

LG생활건강 상황 역시 별반 다르지 않다. LG생활건강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145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6.9% 줄었다. 매출은 1조6837억원으로 2.4% 늘었지만, 순이익은 963억원으로 15.3% 감소했다.

화장품 사업의 매출은 7015억원으로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0.3%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612억원으로 11.3% 감소했다. 중국 소비 회복이 지연되면서 타격을 받았다. 더불어 원가·고정비 상승이 영향을 끼쳤다. 특히 중국 매출은 두 자릿수 감소세를 보이며 매출에 하방 압력을 가했다.

생활용품 사업 매출은 5630억원으로 1.9%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인플레이션에 따른 비용 부담과 고정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40% 급감한 327억원을 냈다.

다만 음료 사업은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 매출은 4192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과 겨줘 6.7% 상승했다. 영업이익 역시 1.3% 증가한 520억원을 기록했다. 코카콜라 제로와 몬스터 에너지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매출이 늘었고, 외부 활동 증가로 오프라인 채널에서 음료 판매가 호조를 보였다.

업계는 하반기부터 중국의 소비 심리가 회복되며 이들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봤다. 김명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중국 화장품 시장 반등과 면세 매출 회복 등에 있어 본격적으로 실적이 개선될 전망”이라고 했다.

정지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3월 중국 소비 지표 서프라이즈 발표에도 화장품 수요 회복은 시장 기대치와 다소 괴리가 존재한다”며 “상반기를 기점으로 LG생활건강의 전 사업부 실적이 저점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주요 브랜드를 중심으로 수익성 개선에 나서는 것은 물론 북미, 유럽 등 신시장 개척을 통해 글로벌 사업 영역 확장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아모레퍼시픽은 중국 전용 이니스프리 신제품을 출시하고 라네즈 제품 라인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럭셔리 화장품인 설화수 윤조에센스 6세대를 출시하고 리브랜딩 캠페인을 연다. 또 북미 지역에서 팝업스토어, 협업 마케팅 등을 강화하며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좋은 제품으로 소비자를 설득하고 시장 다각화를 통해 중국뿐 아니라 북미나 일본, 유럽 시장에서 매출 파이를 가속화 시킬 예정"이라고 말했다.

LG생활건강은 중국 내 럭셔리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고 미국, 일본, 동남아 등 해외 사업 역량을 강화한다. 또 이커머스 접점을 늘리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마케팅 역량 강화에 나설 계획이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강화 또는 리빌딩하는 등 제품 개발에 중점을 두고, 클린 뷰티와 더마 브랜드를 육성하고 있다"며 "중국 리오프닝이 진행되는 시점에 맞춰 기존 럭셔리 브랜드의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북미의 경우 코로나 이후 시장 환경 변화에 맞춰 재정비 및 역량 강화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기사


    최신 뉴스 더보기


        많이 본 뉴스

          산업 최신 뉴스 더보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