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5.03.16 11:41
수백억원대 비자금 조성 의혹을 받고 있는 포스코건설은 이명박 정권을 거치면서 3배 가까이 덩치가 커졌다. 세계 경제 침체와 건설 경기 악화라는 악재 속에서도 꾸준히 흑자를 낸 것이다.
성장의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일각에서는 이명박 정권과의 관계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포스코그룹이 정권과 가까웠던 만큼 포스코그룹도 수주전에서 혜택을 봤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검찰의 칼날이 포스코건설을 정조준한 이유도 이런 성장 과정에서 일어났던 의혹들을 들여다보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 포스코건설, MB 정권에서 회사 규모 3배 커져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보면 포스코건설은 2007년에 3조4685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2013년 매출액은 10조1314억원. 6년 만에 회사 규모가 3배 가까이 커졌다. 영업이익은 2007년에 2472억원에서 2013년에는 2561억원을 기록했다.
대한건설협회가 조사한 2013년 종합건설사 경영분석을 보면 9812개 종합건설사의 매출액은 9% 증가했고, 영업이익률은 1.9%를 기록하는데 그쳤다. 이들과 비교하면 포스코건설은 불황 속에서도 탄탄한 실적을 거둔 셈이다.
시공능력평가순위도 올랐다. 2007년에는 6위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건설업계 전통의 강호였던 대우건설과 대림산업 등을 모두 제쳤다. 업계에서는 포스코건설의 공격적인 수주전략 이외에도 정부와의 관계도 시평 순위를 끌어올리는 데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봤다.
포스코건설의 최대주주는 지분 89.53%를 가진 포스코다. 포스코의 최대주주는 국민연금공단으로 7.72%의 지분을 갖고 있다.
일각에서는 포스코건설의 성장 배경이 4대강 등 MB의 국책사업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MB맨’으로 분류되던 정준양 전 포스코 회장 덕분에 포스코건설이 국책사업을 수행하며 순항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포스코건설의 경우 매출액의 70%가량이 국내 사업에서 나오는 만큼 관급 공사를 수주하기 위해서는 정부와의 관계가 중요하다.
◆ MB정권 실세 덕택에 파이시티 시공사 선정 의혹도
포스코건설의 경우 지난 정권 시절 특혜 의혹도 있었다. 대표적인 사업이 파이시티다.
파이시티는 서울 양재동에 국내 최대 복합유통사업단지를 짓는 사업이다. 총 사업비만 2조4000억원 규모에 이르는 초대형 사업으로 대우자동차판매와 성우종합건설이 시공을 맡았다. 하지만 2010년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사업은 삐걱댔다. 결국 2010년 8월 채권단은 시행사 파산신청을 냈고, 2011년 1월 파이시티는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같은 해 5월 채권단은 시공사를 재선정했는데, 당시 이 사업에는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등 13개 대형 건설사가 입찰을 했다.
하지만 지급보증도 하지 않은 포스코건설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는 일이 벌어졌다. 자연스레 ‘MB정권의 실세로부터 특혜가 있었냐’는 의혹이 생겨났고, 사전에 이미 포스코건설이 내정됐다는 얘기가 돌았다. 보통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은 시공사가 대출지급보증을 서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번에 검찰이 포스코건설에 대한 수사에 들어간 것도 이런 의혹들을 살펴보기 위해서라는 시각이 많다. 포스코건설의 성장 과정에서 있었던 의혹을 파헤쳐 이명박 전 대통령까지 수사를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실제로 업계에서는 수백억원대 비자금 조성 의혹은 '신호탄'일뿐 지난 정권 동안 포스코그룹에서 일어났던 특혜와 비리를 모두 검찰이 조사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