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5.03.26 09:44
국회의원, 2명 중 1명(46%)꼴 1억 이상 늘어
409억원 '우병우 효과' 평균 재산 확 끌어올려
박 대통령 31억여원 신고...취임 후 2년 예금만 6억여원 증가
지난해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고위 공직자 10명 중 7명(67.8%)의 재산이 늘었다. 고위 공직자는 전체의 23.6%(548명)가 1년 동안 재산을 1억원 이상 불렸다. 국회의원은 전체의 45.8%(134명) 가 1억원 이상 재산이 늘었다.
국회 대법원 헌법재판소 정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소속 고위 공직자 2338명의 지난해 12월 말 기준 재산 변동신고 내역을 26일 관보에 공개했다.
관보에 따르면 재산을 신고한 국회의원(김세연 박덕흠 안철수 의원 등 500억원대 이상 세 명 제외), 고위법관, 1급 이상 고위 공무원(중앙선관위 18명 제외) 등 2317명의 평균 재산은 약 14억 2978만원으로 집계됐다.
고위 공직자 평균 재산은 대법원 고위 법관이 19억 750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국회의원(19억2700만원)이 뒤를 이었다. 1급 이상 고위 공무원 1825명의 평균 재산은 12억9200만원이었다.
고위 공직자의 67.8%인 1575명은 재산이 늘어났다. 공직자 재산 증가의 요인은 개별공시지가와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 상승 및 급여 저축 등의 결과로 분석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보다 3억3592만원 늘어난 31억6950만원을 신고했다. 박 대통령은 취임한 지난 2013년 2월(25억5861만원) 이후 지난해 말까지 2년 동안 급여저축과 인세수입 등으로 재산이 6억1089만원 증가했다.
1급 이상 고위 공무원의 평균 재산은 전년(11억9800만원)에 비해 9400만원 늘어난 12억9200만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재산 증가분의 25% 가량은 공무원 중 최고 부자인 우병우 청와대 민정비서관이 올해 공개 대상에 포함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우병우 비서관은 지난 2013년 4월 검찰에서 사직 한 후 조사대상에서 제외됐다가 지난해 5월 청와대 수석비서관으로 임명되면서 공개대상에 포함됐다.
재산이 409억원인 우 비서관을 제외할 경우 1급 고위공직자 평균 재산 증가폭은 7157만원으로 줄어든다.
다만 이번에 우 비서관이 신고한 재산은 임명될 때 (421억7437만원)에 비해서는 1억2483만원이 줄었다. 우 비서관은 배우자 명의로 예금 약 131억원과 채권 163억여원 어치를 보유했다.
지난 2013년 공개 때는 우 비서관을 제외한 공무원 중 최고 부자인 전혜경 국립농업원과학장이 교육 수료 중이라 제외되면서 1급 이상 정부 고위 공무원의 평균 재산이 1600만원 줄어들며 '전혜경 효과'라는 유행어가 돌기도 했다.
백종헌 부산시의원(새누리당)은 전년 대비 25억원가량 늘어난 137억 461만원의 재산을 신고해 재산 증가액이 가장 많았다. 그는 경남 양산시 어곡동과 금정구 장전동, 회동동 등지의 전답과 잡종지 등 25억원 상당의 부동산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호정 서울시의원(새누리당)은 전년 대비 58억원가량 줄어든 22억9887만원의 재산을 신고해 재산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최 의원은 이번 신고에서 부친인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의 재산 고지 거부를 신청해 해당 재산이 신고에서 제외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고위 공직자 중 부동산 부자들은 지난해 땅값 상승 덕분에 재산을 크게 불렸다. 지난해 전국 개별 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4.07%,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은 3.73%가 올랐다. 백종헌 부산시의회 부의장은 소유 건물의 처분하면서 재산이 전년 대비 25억원 이상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