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5.06.03 09:33
-
- ▲ 롯데백화점 영등포점. /홈페이지 캡쳐
롯데백화점이 서울 영등포역사에서 내몰릴 처지가 됐다. 2017년이면 영등포역사 점용 계약기간이 끝나는 데, 임대를 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계약 연장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기 때문이다.
한국철도시설공단 관계자는 3일 "롯데의 영등포역사 점용 기간이 2017년 12월로 끝난다"며 "민자역사는 원상복구를 하거나 국가에 귀속되야 한다"고 말했다.
철도시설관리공단은 민자역사 원상복구나 국가 귀속 시 역사 내 상업 시설 유지와 관련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 용역 공고를 6월 중 낼 예정이다.
영등포역사를 운영하는 롯데역사는 롯데쇼핑 등 롯데그룹 관계사 등이 68%의 지분을 갖고 있다. 코레일이 25%를 보유 중이다. 롯데역사는 민자역사의 건설과 운영, 백화점업 등을 주사업 목적으로 1986년 설립됐다.
영등포역에 소재한 민자역사와 백화점 건물은 1991년 완공돼 개점했다. 롯데역사 매출액은 2014년 감사보고서 기준으로 매출액 6516억원, 영업이익 650억원에 달한다. 영등포점 매출은 약 5000억원 수준이다.
롯데 측은 점용기간이 끝나면 역사 기부채납 이후에 연장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철도시설관리공단 입장은 다르다. 영등포역사의 경우 국가 귀속만 있을 뿐 연장 조항은 없다는 것이다.
다만 국유철도 재산의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국토부 장관이 연장을 승인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조항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철도시설공단 관계자는 “연장을 해줄 경우 특정 기업에 특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점용기간이 끝나고 연장을 자동으로 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국가 귀속 이후 상업시설 재입찰 등 다양한 부분을 고려해 외부 용역을 실시하고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영등포역사 원상복구를 위해 약 1000억원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원상복구는 사실상 불가능한 만큼 국가 귀속 이후 백화점 등 상업건물에 대한 입찰이 진행될 것이란 분석이다. 영등포역사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상업시설 유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영등포역사가 노후화됐다는 것도 변수다. 롯데의 점용기간이 끝나면 장기간 리모델링 등이 진행될 수 있다.
또 입찰이 진행되면 유통 대기업 대부분이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롯데 영등포점은 지하철역과 지방 철도가 연결된 교통 요지이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재연장은 특정 기업에 특혜를 주는 것이라 입찰을 통해 상업시실 점용 계약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며 "대다수 유통 대기업들은 입찰에 뛰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역사 대주주인 롯데쇼핑 관계자는 "현재 철도시설관리공단에서 민자역사 점용기간 끝나는 것과 관련해 용역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재연장이 가능하도록 용역 결과가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