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5.07.01 09:21
[금융 인사이드] 정부 대부업체 이용자 조사
작년 250만명이 11조원 빌려… 448만원꼴, 전년비 11%늘어
7~10 신용등급자가 대부분
최고 연 34.9% 이율의 대부업체 대출을 받는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행정자치부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은 30일 작년 말 기준 전국의 등록 대부업체(대부중개업체 포함) 8694개를 대상으로 이용자 실태 조사를 한 결과, 대부업체 이용자가 250만명에 달하고, 이들이 빌려 쓰고 있는 돈이 11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1인당 평균 대출액은 448만원으로 2013년 말(403만원)보다 11% 늘어났다.
◇주부들이 대부업체에서 빌린 돈의 70%는 생활비 용도
대부업체 이용자들은 회사원이 52%, 자영업자가 26.2%, 주부가 8%, 기타(직업 미분류나 무직)가 13.8%로 집계됐다. 2013년 말과 비교해 회사원의 비중은 10.2%포인트나 줄었지만, 자영업자 2.6%포인트, 주부는 1.7%포인트 늘었다. 대출 목적은 생활비(48.3%)가 가장 많고, 사업자금(31.4%), 다른 대출 상환(6.2%), 물품 구매(1.5%) 등의 순이었다. 주부들의 대출은 73%가 생활비 충당 목적이었다. 회사원도 생활비 목적 대출이 70%에 달했다. 자영업자는 생활비보다 사업자금(65.4%)을 위한 대출금이 많았다.
신용등급별 대출금 규모는 7~10등급이 77.1%를 차지했고, 4~6등급이 22.9%였다. 3등급 이상은 0.002%에 불과했다. 2012년 말과 비교해 보면, 4~6등급은 15%에서 22.9%로 크게 늘어났고, 7~10등급은 85%에서 77.1%로 줄어들었다.
경기 침체와 대부업체의 TV 광고 공세 등으로 거부감이 낮아져 4~6등급도 대부업체를 이용하는 숫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대부업 TV광고 급증은 숫자로 나타난다. 상위 9개 대부업체의 TV 광고비는 2012년 347억원이었지만, 지난해에는 924억원으로 늘어났다.
대부업체 이용자 10명 중에 4명은 대출 이용 기간이 1년이 넘었다. 은행 문턱을 넘지 못하는 저소득·저신용자들이 생활비나 창업 자금 등을 조달할 목적으로 대부업체를 자주 이용하고 있다는 뜻이다. 1년 이상은 44.1%, 1년 미만은 55.9%로 집계됐다.
◇자산 100억원 이상 대형 대부업체 숫자 역대 최고
대부업계의 총 대부잔액은 11조1600억원으로 2013년 말에 비해 11.4% 증가했다. 그러나, 등록 대부업자(대부중개업자 포함)는 작년 말 기준 8694개로 2013년 말보다 632개가 줄어들었다.
정부가 작년 4월부터 최고금리를 연 39%에서 연 34.9%로 낮추면서 이익이 줄어든 소규모 개인 대부업체들의 폐업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형 대부업체들의 비중은 더 커졌다. 자산 100억원 이상 대형 대부업체 수는 165개로 정부가 실태조사를 시작한 2008년(87개) 이후 7년 만에 가장 많았다. 대부업체 이용자의 90% 이상이 이런 대형업체에서 대출을 받았다. 대부업 최고금리 인하(39%→34.9%)에 따라 평균 대출 금리는 연 29.8%로 낮아졌다. 2002년 대부업법 도입 이후 처음으로 20%대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 금리는 신용대출과 담보대출 금리를 합친 것이다. 신용대출 평균 금리는 연 32.1%로 최고금리인 34.9%에 육박했다. 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연 17.3%여서 전체적인 대부업체 금리가 낮아진 것처럼 보이게 됐다. 자산 100억원 이상이고, 대부업 이외의 업종을 겸하지 않는 92개 업체의 지난해 순익은 5450억원에 달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정부가 최근 최고금리를 29.9%로 낮추는 대부업법 개정을 추진키로 한 것은 실태 조사 내용 등을 반영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