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5.10.06 09:09
국내 소셜커머스 3사(쿠팡, 티몬, 위메프, 이하 소셜 3사)는 국정감사에서 지적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협력사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건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하기로 한 것이다.
한국온라인쇼핑협회에 따르면 소셜 3사는 5일 '소셜커머스 자율준수위원회' 회의를 열고, 개선안 및 시행 계획을 수립했다.
지난 9월 14일에 열린 중소기업청 국정감사에서 김동완 새누리당 의원은 ▲배송료에 대한 PG(결제대행 서비스)수수료 부과·판매 수수료 가이드라인 부재(쿠팡) ▲판매정산의 불편함·배송지연 페널티 부과(티몬) ▲대금정산 지연·판촉비용 부담(위메프) 등을 지적했다.
쿠팡은 사내 MD(상품기획자)의 소양교육을 강화하고 PG수수료 관련 협력사의 자율선택권 보장 제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세부 카테고리별 수수료 가이드라인을 제정해 협력사의 마진율 예측이 용이하도록 시스템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지방 영세 화물운송 사업자와의 상생을 위한 MOU(양해각서) 추진도 모색하기로 했다.
티몬은 정산시스템에 대한 중소상공인들의 불만사항을 적극 수용해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하고, 이를 위해 개발자를 대규모로 충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송지연이 없는 모범파트너에 대해선 적극적인 인센티브도 제공할 계획이다. 현재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공정거래 및 윤리규정에 대한 사내교육을 강화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위메프는 판매기간 2개월 이상 상품의 대금정산 지연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월간 정산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내년 초에는 이 시스템을 통한 월간 정산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와 별도로 상품판매 기간 중 대금을 정산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 10월부터 시행에 나선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를 주관한 이진형 소셜커머스 자율준수위원회 위원장(위메프 부사장)은 "그동안 문제를 개선할 기회와 시간이 부족했던 것 같다"며 "앞으로 건전한 유통질서를 확립하고 협력사와 상생할 수 있는 문화 정착을 위해 소셜커머스 3사가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