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와서 利子 더 내라니…" 입주 예정자들 은행과 중도금 갈등

    입력 : 2016.02.22 09:38

    금융권 대출 거부·금리 인상 늘자 입주 예정자들 집단 민원 줄이어


    지난해 9월 경기 용인에 짓는 A아파트를 분양받은 입주 예정자들은 지난주 초 중도금 납입을 앞두고 날아온 대출 안내문을 받고 깜짝 놀랐다. 계약 당시에는 은행 측이 "금리는 기준 금리에 연 1.0%의 가산 금리를 적용한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안내문 내용은 달랐다. 은행 측은 대출금리로 '기준 금리+연 1.25%'를 제시한 것. 입주 예정자 B씨(32)는 "그동안 아무런 얘기도 없다가 대출받을 시기가 되니 갑자기 이자를 더 내라고 해서 황당했다"고 말했다. 입주 예정자들은 금융감독원과 공정거래위원회, 해당 은행 등에 집단 민원을 제기한 끝에 당초 약속된 금리를 적용받기로 했다.


    최근 아파트 중도금 집단 대출을 둘러싼 금융권과 입주 예정자 간 갈등이 속출하고 있다. 작년 말 이후 아파트 분양 시장이 위축되자 금융권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중도금 대출을 거부하거나 금리를 올린 게 발단이 됐다. 입주 예정자들은 "기준 금리가 그대로인데 말도 안 된다"고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작년 10월만 해도 집단 대출 금리는 연 2%대였지만 현재 3%대 초반까지 올랐다. 일부 사업장은 시중 은행이 대출을 거부해 금리가 높은 제2금융권을 이용해야 하는 상황이다. 실제 경기 용인의 C아파트는 당초 시중 은행에서 연 2%대 집단 대출을 받으려 했지만 거부당해 농협과 새마을금고에서 연 3% 중반대로 대출을 받았다. 김의열 한국주택협회 정책실장은 "이미 분양된 아파트 3만4000가구 정도가 이자를 더 내거나 집단 대출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은행 측은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중 은행 관계자는 "주택 시장이 꺾일 가능성에 대비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보수적으로 대출을 진행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일부 입주 예정자들은 집단행동에 나섰다. 경기 광교신도시의 한 아파트는 입주 예정자들이 집단 대출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서명에 들어갔다. 김승배 피데스개발 대표는 "집단 대출은 부실 우려가 적은 우량 대출인데 금융권이 과민 반응하는 측면이 있다"면서 "자칫하면 분양 시장을 냉각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