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기 매출 74조, 영업이익 4조6000억…시장 전망 밑돈 '어닝쇼크'
HBM·파운드리 부진 지속…하반기 엔비디아 공급 가능성 속 신중론도
/뉴스1
반도체 침체 터널이 길어지면서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급감했다. 특히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에서의 부진이 삼성전자의 발목을 잡았다.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74조원, 영업이익 4조6000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0.09%, 영업이익은 55.94% 감소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49%, 31.24% 줄었다.
2분기 삼성전자의 실적은 시장 전망에 미치지 못한 '어닝쇼크'로 평가된다. 금융정보업체 FN가이드의 2분기 삼성전자 실적 컨센서스(전망치)는 매출 76조2119억원, 영업이익 6조1833억원 이었다.
반도체가 2분기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시장은 이 기간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의 영업이익을 5000억원 안팎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AI 시대를 맞아 각광받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와 파운드리의 경쟁력 저하가 뼈아팠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HBM 시장에서 여전히 엔비디아의 눈높이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하반기에 엔비디아향 HBM3e의 공급이 가시화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지만,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지난해부터 '가능성'이 지속하는 가운데 실제 퀄테스트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것이다.
'글로벌 1위'를 목표로 하는 파운드리도 반등의 계기를 찾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일부 고객사의 물량을 확보했지만 라인 가동률이 정상 궤도에 오르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시스템 LSI도 숨고르기를 지속한 것으로 예상된다. 2분기에 파운드리와 시스템LSI에서 2조원 이상의 영업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DX에서는 스마트폰과 가전사업의 명암이 극명하게 엇갈린 것으로 보인다. 비수기에도 갤럭시가 선방한 MX는 3조원 가량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 VD와 생활가전은 전반적인 제품 판매 부진 속에 관세영향까지 받으면서 3000억원 수준의 영업이익에 머문 것으로 예상된다.
Copyright ⓒ 디지틀조선일보 - 디지틀조선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