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파트너스 연합회(CPA) 회원들이 7일 서울 강남구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본사 앞에서 '택배 없는 날' 참여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CPA 제공
8월 14일 '택배 없는 날'이 예정된 가운데 쿠팡의 위탁 배송 기사들인 '퀵플렉서'들이 소득이 줄어든다고 반대하고 나섰다. 이미 자율적으로 주 5일제로 쉬고 있는 상황에서 다른 택배 업체들처럼 '강제 휴무'에 동참할 경우 오히려 수익이 줄어들어 생계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이유에서다.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는 7일 서울 강남구 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 본사 앞에서 '택배 없는 날' 참여 반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쿠팡이 택배 영업점을 통해 배송을 위탁하는 퀵플렉서 수십 명이 참여했다. 택배 업계에 따르면 전체 퀵플렉서의 절반가량이 CPA의 택배 영업점 회원사에 속해 일하고 있다.
CPA는 "CLS가 영업점과 계약할 때 '대체 인력 확보'(백업 기사)를 통한 자유로운 휴무 사용을 요구했음에도 강제로 휴무를 정하는 것은 신의성실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영업접들이 부담을 무릅쓰고 대체 인력을 확보하는 것은 택배 기사들이 원할 때 원하는 만큼 쉴 수 있는 선진 택배 환경을 만들기 위한 조치"라고 했다.
퀵플렉서들은 "불필요한 강제 휴무 때문에 수입을 날리게 생겼다"고 호소했다.
한 퀵플렉서는 "퀵플렉서들은 부담 없는 휴가 사용과 언제 쉬어도 일정한 수입이 보장되는 쿠팡의 시스템을 믿고 배송 업무를 하고 있다"며 "지난 대선일 강제 휴무는 계획된 휴무 일정에 차질을 빚고 하루 수입을 통째로 날린 '택배 빼앗긴 날'이었다"고 말했다.
CPA는 기자회견 이후 쿠팡CLS에 택배 없는 날 참여를 반대하는 공식 요구서를 전달했다.
타 택배사들의 경우 대부분 주 6~7일제를 하기 때문에 쿠팡 퀵플렉서들과 입장이 다른 상황이다. 매년 8월 14일 전후 쉬는 택배 없는 날은 민주노총 산하 택배노조 주도로 2020년부터 택배사들에 도입됐지만, 쿠팡CLS와 컬리 등은 참여하지 않고 있다.
한국물류과학기술학회가 주요 택배사 소속 택배 기사 12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CLS 택배 기사의 62%가 주 5일 이하 근무하는 반면, CJ대한통운(1.5%), 한진(1.5%), 로젠택배(11%) 등 다른 택배사들은 대부분 주 6~7일제로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한국노총은 공식 성명을 내고 CJ대한통운, 롯데택배, 한진택배, 로젠택배, 쿠팡CLS 등 주요 택배사에 대해 “수수료 감소 없는 주5일제를 전면 도입하라”며 “최근 극심한 폭염 속 CJ대한통운 소속 택배기사가 사망한 것은 단순 사고가 아닌 구조적 과로가 낳은 참사”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