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디지틀조선일보DB
"다 떠나서 그냥 너무 재미있었다. 언제 또 어룡 뱃속에 들어가고, 화룡과 싸울 것이며, 날아다니며 동료들을 구하겠나. 실제로 구현됐을 때 쾌감도 매우 컸다."
15일 서울 메가박스 코엑스점에서 진행된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 언론시사회에서 배우 안효섭이 밝혔다. 즐기는 자를 이길 수 없다고 했던가. 넷플릭스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진우'의 목소리 연기로 세계적으로 화제를 모은 안효섭이 첫 스크린 주연작에서 다시 한번 비상한다. 이날 현장에는 안효섭을 비롯해 이민호, 채수빈, 신승호, 나나, 그리고 김병우 감독이 참석했다.
'전지적 독자 시점'은 10년 이상 연재된 소설이 완결된 날 소설 속 세계가 현실이 되어 버리고, 유일한 독자였던 ‘김독자’가 소설의 주인공 ‘유중혁’ 그리고 동료들과 함께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판타지 액션 영화다. 그리고 이는 실제 인기 웹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기도 하다. 웹소설을 보던 '김독자'(안효섭) 앞에 벌어진 풍경이 스크린 앞에 그대로 펼쳐진 것. 김병우 감독은 "아주 유명한 원작을 기반으로 한 것은 장단점이 다 있는 것 같다. 기대가 있는 만큼, 부담이 되는 경우도 있다. 원작을 보셨든지, 보시지 않으셨든지, 모든 관객에게 재미를 드릴 수 있도록 디자인해야 한다는 것이 최초의 목표였다"라며 "아무 부담 없이 지하철 3호선에 앉아 계시면 모든 사건이 아주 재미있게 일어날 거니, 편안하게 계시면 나머지는 알아서 하겠다"라고 자신하는 모습을 보였다.
안효섭은 10년 넘게 연재된 소설의 유일한 독자 ‘김독자’ 역을 맡아 넷플릭스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목소리 연기에 이어 첫 스크린 주연작으로 나선다. 안효섭은 "'소다팝' 하며 지내고 있다"라고 말문을 열며 "'케이팝 데몬 헌터스'로 좋은 나날 보내고 있고, 그것에 힘입어 '전지적 독자 시점'에도 좋은 에너지 받았으면 좋겠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자신이 맡은 캐릭터에 대해 "나만의 '독자'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가장 컸다"라고 고민한 지점을 전했다. 이어 "모두가 '독자'의 위치에 있을 때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었을지, 질문을 던지고 싶었다. 그런 점에서 마냥 희어로적인 모습이 아닌, 현실적이고 공감할 수 있는 한 사람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다"라며 "관객분들이 '독자'와 함께 지하철 3호선에 탑승해 영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싶었다"라고 바람을 전했다.
'김독자'(안효섭)는 동료 유상아(채수빈), 이현성(신승호), 정희원(나나), 이길영(권은성) 등과 함께 연대해 앞으로 나아간다. 반면 독자가 읽은 소설 속 주인공인 유중혁(이민호)은 자신이 살아남기 위한 독자적인 길을 간다. 이민호는 그런 캐릭터에 "판타지라고 접근하지 않고, 유중혁과 같은 상황에 처해있다면 이라는 물음부터 시작한 작품"이라며 "그렇기에 충분히 외롭고 쓸쓸하게 작업에 임한 것 같다"라고 밝혔다.
김독자의 동료들은 각자만의 무기를 갖고 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유상아(채수빈)의 실을 활용한 액션. 이와 관련 채수빈은 "현장에서 실제로 실뜨기를 많이 했다"라며 "혼자 해가는 것이 아니고 감독님, 무술팀, 배우들도 하나가 되어 함께 고민했다. 액션 장면을 찍을 때도 진짜 많은 응원을 해주셔서 생각보다 덜 힘들게 촬영했다"라며 실제 연대했던 현장임을 전했다.
안효섭이 언급했듯, 어룡, 화룡 등 다양한 상상 속 크리처들과 맞서 싸워야 했다. 처음 블루스크린 연기에 도전해 본 나나는 "이번이 처음이라서 그 상상을 하면서 집중할 수 있을까, 온전히 감정을 표현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많이 했다"라고 우려했던 지점을 전했다. 이어 "현장에서 연기할 때, 옷과 분장 등 모든 것이 다 갖춰진 상태였고, 모든 분이 집중하고 계셨다. 그래서 걱정한 것이 아예 없어질 정도로 마음껏 상상하고 제가 쓰고 싶었던 연습한 동작을 추가해 가며 자유로운 상태에서 연기할 수 있었던 것 같다"라고 만족감을 전했다.
'전지적 독자 시점'은 연재된 웹소설의 일부를 담고 있다. 이와 관련 2부 가능성을 묻자, 김병우 감독은 "구두로 말한 적은 있는데 본격적으로 계약한 것은 아니다"라며 "이다음 이야기가 있다는 것은 아마 알고 계실 거다. 결국 가능성이라는 것은 현재 극장 상황에 따라서 이 영화가 얼마나 많은 사랑을 받을 수 있느냐에 달린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도깨비부터 화룡, 어룡 등 어마어마한 크리처들이 등장하는 새로운 아포칼립스 상황 속에서 각자 자신의 모습을 발견해가며 한 걸음씩 앞으로 나아간다. 게임을 하는 듯, 질문을 받는 듯, 스크린 속에서 117분 내내 지루할 틈이 1초도 없다. 이는 오는 7월 23일 개봉해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15세 이상 관람가.
Copyright ⓒ 디지틀조선일보 - 디지틀조선TV